<p></p><br /><br />관련된 이야기, 오늘의 에디터 정치부 노은지 팀장과 함께 짚어 봅니다. 노 팀장, 오늘의 분석 키워드는 뭡니까? <br><br>오늘의 키워드 ‘전원 교체’ 입니다. 직원 비위 문제로 팀이 통째로 교체된 청와대 특별감찰반 얘기입니다. <br><br>1. 그동안 인사실패로 공격받았던 조 수석 청와대 내에선 보는 기류가 어떻습니까. 안에서도 문제가 없다는 입장입니까? <br><br>인사검증 실패에 이어 이번에는 본인이 관리하는 수석실내 문제다보니 조 수석 사퇴를 요구하는 야권의 공세는 거세질 수밖에 없는데요, <br> <br>청와대에선 어떤 책임론도 나오고 있지 않습니다. <br> <br>한 여권 관계자는 대통령과 조 수석은 2012년 대선 때부터 인연을 맺어온 사이라 쉽게 경질되지 않을거라 전망하기도 했는데요. <br> <br>조 수석이 책임론을 피해가고 누군가 책임을 져야하는 상황이 된다면 대신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이 그 부메랑을 맞을 수도 있다는 관측도 나옵니다. <br><br>2. 노 팀장 현장에서 판단하기에 기강이 해이해진 것은 맞습니까? <br> <br>11월 한 달 동안 청와대 경호원 폭행사건 김종천 전 비서관의 음주운전 등 불미스런 일등이 잇달아 발생했는데요. <br><br>기강이 흐트러졌다고 볼 수 있는 대목입니다. <br> <br>특감반의 이중적 태도도 드러났는데요. <br> <br>8일 감찰반은 국민연금 개혁안이 외부 유출됐다며 복지부 공무원 2명의 휴대전화를 조사를 벌였습니다. <br> <br>그런데 이에 앞서 특감반 수사관은 경찰청을 방문해 지인 관련 사건을 캐물은 거죠. <br><br>3. 고위 공무원들 감찰한다는 특별감찰반의 그 엄격한 잣대가 정작 본인들한테 적용되지는 못했던 거군요? <br> <br>그렇죠. 지방선거 직후 문재인 대통령이 조 수석 중심으로 악역을 맡아달라고 주문도 했습니다. <br> <br>지방선거에서 여당 소속 단체장이 많이 당선이 돼서 감찰대상이 늘어나자 특별감찰반 확대 계획을 세우고 인원을 늘리기도 했었죠. <br><br>4. 박근혜 정부에서 우병우 당시 민정수석의 별동대로 불리며 여러 논란이 있었던터라 이번 정부는 잘 운영하겠다고 해오지 않았습니까. <br> <br>네 박근혜 정부에서는 없던 반부패비서관을 신설하면서 공무원 감찰 업무를 반부패비서관실 산하 특별감찰관이 맡게 됐죠, 민정비서관실 특감반이 대통령 친인척과 고위 공무원을 감찰하고요. <br> <br>검찰, 경찰은 물론 국세청, 금감원, 감사원 등 사정기관에서 파견을 받았던 전 정권과 달리 문재인 정부는 검경에서만 파견을 받아 수사력이 더 막강해지기도 했고요. <br> <br>그런데 전 정부에서 민정수석실 근무를 했던 한 공무원과 통화를 해봤더니 권한이 막강해지면 특감반에 줄을 대려는 시도도 많아진다고 하더라고요. <br> <br>이번에 골프 향응 등 의혹으로 특감반이 전원 교체된 배경에도 그런 점이 작용했다는 시각이 많습니다. <br> <br>정치부 노은지 팀장이었습니다. <br>